투자
[슈퍼 트레이더] 포지션사이징 모델
BetterToday
2022. 10. 12. 22:27
728x90
1. CPR 모델 포지션사이징
- P(매수량) = C(잔고에서의 리스크) / R(매수 단위당 리스크)
- 응용버젼
- 베팅사이즈(% 단위) := (총자본 대비 리스크 (% 단위)) / (포지션 대비 리스크 (%단위))
- 예시)
- 총자본 1억, -4% 손절포인트를 사용할 때 총 자본 대비 리스크를 -1%로 제한하려 얼마를 베팅해야 하는가?
- (1%) / (4%) = 0.25 = 25%
- 즉, 총자본의 25%를 베팅하면 리스크를 1%로 제한할 수 있다.
2. Equity 모델
모델 종류 | 설명 |
Core Equity 모델 | "현금"에 일정 비율을 새로운 포지션에 베팅하는 방식 |
Total Equity 모델 | "계좌의 현금과 오픈 포지션의 value"에 일정 비율을 새로운 포지션에 베팅하는 방식 |
Reduced Total Equity 모델 | "현금 + 오픈 포지션의 확정 수익"에 일정 비율을 새로운 포지션에 베팅하는 방식 |
마크 미너비니가 사용하는 Progressive Exposure는 Core Equity 모델과 Reduced Total Equity 모델을 사용하되, 수익이 날 때 베팅사이즈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듯하다. 그리고 책에 보면 뭔가 마크미너비니를 연상시키는 글도 있음.
이 트레이더는 처음에는 자기 자본에서 최소한도의 리스크를 감수하지만 수익이 나면 수익을 '시장의 돈'이라고 부르면서 그 수익에 대해 리스크를 훨씬 더 큰 비율로 설정했다. (슈퍼 트레이더, 278쪽)
사실 Core Equity냐 Reduced Total Equity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수익이 날 때 그걸 다음 거래의 리스크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