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clipse
- 파이어족 자산증식
- 이클립스
- 추세추종 2%룰
- 마크미너비니
- mark minervini
- AWS
- 파이어족 저축
- 퀀터스 하지 마세요
- H는 통계를 모른다.
- 파이어족 포트폴리오
- 2%룰
- 제시 리버모어
- 데이빗 라이언
- 데이비드 라이언
- 파이어족
- 자산배분
- GIT
- 파이어족 자산
- 니콜라스 다바스
- 김프
- tensorflow
- 신의 시간술
- 마크 미너비니
- 연금저축계좌
- 에드워드 소프
- 아웃풋 트레이닝
- 통계적 유의성
- 퀀트 트레이딩
- python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06)
머신러닝과 기술적 분석
시장의 마법사들에서 래리하이트편을 읽어봤다. 짧은 글임에도 새겨 들을 만한 내용이 많아서 정리해 보았다. 1. 투자는 확률 게임이다. 성공적인 투자는 확률의 문제라는 생각을 갖게 됐어요.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면 시장을 이길 방법을 찾아보고 시험해볼 수 있게 되거든요. (251쪽) 래리하이트는 투자를 확률적인 게임이라고 정의했다. 여기서 확률이라는 것은 1번의 거래에서 얻을 수 있는 기대값(expectation) 을 의미한다. 기대값 := (이길 확률 * 이길 때의 평균 이익) - (질 확률 * 질 때의 평균 이익) 이 기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면 돈을 벌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오케이. 확률계산하면 돈 벌 수 있어. 좋은 말인데 어떻게? 2. 근데 확률을 어떻게 계산하지? 인간은 언제나 똑같기 때문에, 만..
logging 모듈을 print처럼 쓰다보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올 때가 있다. --- Logging error ---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 TypeError: not all arguments converted during string formatting Call stack: File "log_main.py", line 5, in logging.error("info: ", 10) Message: 'info: ' Arguments: (10,) 이 에러를 찾기 힘들때가 있는데.. logging level을 실행안돼도록 맞춰놓으면 실행이 안돼면서 문제가 없어보이다가 level을 키면 실행되면서 에러가 난다. 아무튼 고치는 방법은 매우 심플함. import lo..
Passive ETF Active ETF 개념 수동적(Passive)으로 어떤 지수를 따라가는 ETF 적극적(Active)하게 누군가(Sytem 또는 Human)가 운용 예시 Tiger 200, SPY, .. ARKK, ARKG, .. 장점 1. 저렴한 운용수수료 (대부분 운용보수가 0.1% 미만) 2. 효율적시장가설에 의거, 시장 수익률을 따라갈수 있다. 시장수익률 이상을 추구할 수 있음. (작년 ARK 시리즈의 성과) 단점 시장 수익률 이상을 벌수 없다. 1. 장기적으로 시장 수익률 이상을 버는 펀드가 별로 없다는 점. 2. 비싼 운용 수수료 (ARK 시리즈의 경우 0.75%) 간단하게 Passive ETF와 Active ETF를 정리해보았다! Active ETF는 펀드를 etf로 출시한 것과 비슷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DO6h/btq9mlWOTn3/kQrvDfYqIHXE9kCm25HPd0/img.png)
지난 포스트 달러와 주요자산군과의 상관관계 에서 달러의 헤지 역할에 대해서 실험해보았다. 이번에는 한국 주식(코스피지수로 계산)과 원/달러 환율의 상관계수를 구해보았다. # 테스트 기간: 1995-01-01 ~ 2021-07-31 USD/KRW KS11 USD/KRW 1.000000 -0.221569 KS11 -0.221569 1.000000 먼저 상관계수는 -0.221569이다. (예상했던대로 음의 방향이지만 솔직히 더 낮게 나올줄 알았다.) 시계열 변화를 그림으로 띄워보면 아래와 같다. 위기의 순간마다 환율이 뛰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주식에 투자하는 경우 달러자산을 가지고 있으면 확실하게 헤지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달러자산 보유는 필수! (관련 python 코드 첨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mVDQ/btq9gBd2jlw/xb9ZxoyOSQk7nfC6wXwm6k/img.jpg)
투자를 도박으로 생각하면 안되겠지만 투자와 도박은 비슷한 점이 분명히 있다. 특히 포커와 비슷하다. 돈을 걸지 않으면 잃지 않는다. 하지만 딸 수도 없다. (영화 라운더스, 2001) 포커를 소재로한 영화 라운더스에서 주인공 맷데이먼이 끝판왕과의 마지막 승부를 결심하며 중얼거리는 독백이다. 트레이딩을 공부하는 요즘, 이 장면이 생각이 났다. 시장에 참여하지 않으면 잃지 않는다. 하지만 돈을 벌 수도 없다. 그래서 투자라는 승부에서 이기기 위한 첫 걸음은 투자에 참여하는 것이다. 참여하지 않으면 이길 수 없다. 중요한 것은 참여하기 전에 베팅사이즈 (얼마나 투자할 건인지, 그것은 내 전체 자산에서 얼마의 비중인지, 잃어도 문제가 없는 돈인지 등등) 를 정하고 그 위험이 어느정도인지 가늠하는 일일것이다. 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h45q/btq9iA6hJpG/zLI3Y2OJ4gHLt0MpKrnV50/img.jpg)
1장 : 제시 리버모어의 생애 제시 리버모어는 호가판 주사로 일하면서 주식거래를 하기 시작한다. 16세가 되던 해에는 전업투자자로서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한다. 20세때 첫 번째 파산을 경험하지만 단기적인 주가의 등락을 이용한 매매스타일로 곧 재기한다. 24세때에는 상승장에서 공매도에 베팅해 두 번째로 파산한다. 1902년, 25세의 그는 추세매매로 거래 방식을 바꾸면서 계좌를 조금씩 회복하고, 1907년 하락장에서의 공매도로 300백만 달러의 수익을 거둔다. 막대한 수익으로 월가에서 명성을 얻지만, 혼자서 거래한다는 본인의 원칙을 어긴 대가로 세 번째 파산을 경험한다. 1910년 ~ 1914년까지 횡보장에서의 잦은 거래로 제시 리버모어의 빚은 더 늘어가고 법원에 공식적인 파산신청을 한다. 1915년 38..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3iYj/btq874HRSkI/MWV22ZPkS8FDAdcquyMqNk/img.png)
자산배분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통계치는 자산군간의 상관계수일 것이다. 처음 백테스트를 하려고 할때 뭔가 쉽게 구할수 있을것 같으면서도 막상 구현하기가 막막했다. 다행히 pandas에 관련 라이브러리가 있어서 코드 몇 줄로 구현이 가능하다 pandas를 이용해서 구현해보고 잘 구현되었는지 portpolio visualizer로 확인해보자! 1. pandas를 이용해서 구현 영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4가지 자산군을 가지고 correlation을 구해보았다. 하나씩 설명을 하려다가 너무 귀찮아서 코드가 길지 않아 코드 설명은 주석으로 달아놓았다. 한 가지 주의사항은 일단위 데이터가 아닌 월단위 데이터로 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이 점을 잘 몰라서 일단위 데이터로 구했다가 portpolio visual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arPq/btq9af2nY7K/k1gsrJM3wgaH9Kvt2GzXQk/img.png)
우리나라에서는 양봉을 빨간색, 음봉을 파란색으로 표시하지만 미국에서는 음봉을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Backrader로 미국에서 만든 package 답게 음봉을 빨간색, 양봉은 회색으로 표시된다. 아무런 설정없이 캔들을 띄워보면 다음과 같이 어색한 차트가 나온다. 그런데 다행히 옵션으로 한국 스타일 캔들차트를 띄울 수 있다! # 이런식으로 상승이면 (양봉) 빨간색, 하락이면 (음봉) 파란색으로 설정 cerebro.plot(style="candle", barup="red", bardown="blue") 이렇게 설정하고 plot을 띄워보면.. 우리에게 익숙한 차트를 띄울 수 있다. (이건 SPY의 일봉차트) 전체 소스코드 참고자료 plotting 메뉴얼 : https://www.backtrader.com/d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zv8j/btq8VGf7pCS/JrNOhlZtW9XwaIwbkFRii1/img.png)
유튜브에서 놀라운 비디오를 봤다. 분산투자 필요없고 월급받는대로 S&P 500을 추종하는 SPY에 몰빵하라는 단순무식한 전략으로 연평균 10 ~ 12%의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다는 비디오다. (그 말한 사람은 그걸로 책까지 쓴 모양이다...) 미국장이 좋았던 2010년부터 최근까지의 결과만 말한다. 당연히 백테스트 결과따위는 없다. 9.11과 서브프라임이 있었던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10년동안 연평균 수익률이 1프로 미만이었다는 얘기도 안한다. 여기까지 생각했었는데.. 주식과 달러원환율과의 상관계수가 반대라는 것을 생각해보니 의외로 괜찮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해서 백테스트를 해봤다. 백테스트 라이브러리 연습도 해볼겸! 1. Portpolio Visualizer로 백테스트 미국 ETF는 portf..
파이어족으로 은퇴하고 나서 하고 싶은 일 중에 하나가 책을 마음껏 읽는 것이다. 내가 봐도 참으로 소박하다! 책읽는걸 참 좋아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먹고 사는 일이 바쁘다는 핑계로 책을 읽지 않는다. 책 읽을 시간에 논문을 더 봐야 하지 않을까? 코딩을 더해야 하지 않을까? 난 실력이 모자라는것 같은데 더 열심히 해야하지 않을까? 요새 투자 공부한답시고 책을 좀 읽고있다. 좋다! 책을 더 읽고 싶다. 돈 버는 목적으로 말고, 일을 더 잘하겠다는 목적으로 말고, 그냥 재미로. 손에 집히는대로